본문 바로가기
삶의 꿀팁

“말레이시아 vs 한국 공기질 비교: 최근 3년간 PM2.5 데이터로 본 KL·셀랑고르·페낭 vs 서울·경기·제주”

by 정상인 입니다. 2025. 5. 4.
반응형

말레이시아의 KL, 셀랑고르, 페낭과 한국의 서울, 경기, 제주도의 최근 3년간 PM2.5 데이터를 비교 분석했습니다. 열대 기후라고 항상 깨끗한 공기를 기대하긴 어렵습니다. WHO 기준을 초과하는 말레이시아 주요 도시들과 대기질이 개선된 한국 도시들의 차이를 알아보세요.


막연히 소나기가 연중 내리고 녹음이 우거진 열대지방은 공기가 깨끗하다고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그런 인식은 정말 자연스러운 거예요. 비가 많고 숲이 울창한 열대 지역이면 당연히 공기도 맑을 것 같죠. 실제로도 자연림 깊숙한 곳은 대기질이 아주 좋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도시화된 열대지역, 특히 말레이시아의 산업지대와 수도권처럼:

  • 교통량 많고
  • 산업 배출이 꾸준하며
  • 계절풍 시기엔 이웃 국가에서 날아오는 화재 연무(Haze) 영향까지 받는

이런 조건들이 겹치면 열대 기후라도 대기질이 빠르게 악화됩니다. 반대로 한국은 강력한 미세먼지 정책과 기술 관리로 도시권 공기질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는 상황이고요.

실망은 이해되지만, 그래도 장점은 있어요. 말레이시아는:

  • 겨울철 난방 미세먼지 없음
  • 실내 공기질은 대부분 쾌적 (곰팡이 제외 시)
  • 숲이나 해안으로 조금만 이동하면 공기질이 급상승

 


📊 1. 분석 대상 지역 및 데이터 출처

말레이시아:

  • Selangor: Klang, Shah Alam, Petaling Jaya 등
  • 쿠알라룸푸르(KL)
  • 페낭(Penang): Perai 등

한국:

  • 서울특별시
  • 경기도: 수원, 고양, 부천 등
  • 제주특별자치도

데이터 출처:

 

 

 

 

 

Live Animated Air Quality Map (AQI, PM2.5...) | IQAir

Discover AirVisual Map, live world air pollution and air quality index (AQI) interactive 2D animated map combining PM2.5 data from public government, air quality stations, our community.

www.iqair.com

 

 


📈 2. 최근 3년간 PM2.5 평균 농도 비교 (2022~2024)


 

지역 2022년 평균 (μg/m³) 2023년 평균 (μg/m³) 2024년 평균 (μg/m³)
쿠알라룸푸르 17.3 15.3 28.3
Shah Alam 28.7 - -
Klang 33.5 - -
Perai (페낭) 24.7 - -
서울특별시 약 19.0 약 18.0 17.6
경기도 약 20.0 약 18.5 약 17.5
제주도 약 12.0 약 11.0 약 10.0
 

WHO 권고 기준: 연평균 5 μg/m³ 이하Aqi.in+4smartairfilters.com+4Wikipedia+4

 

 

 

 


⚖️ 3. 가중 평균 분석: 말레이시아 vs. 한국

말레이시아 주요 도시 평균:

  • 2022~2024년 평균: 약 24.5 μg/m³

한국 주요 도시 평균:

  • 2022~2024년 평균: 약 16.5 μg/m³

비교 결과:

  • 말레이시아 주요 도시의 평균 PM2.5 농도는 한국 주요 도시보다 약 48% 높습니다.

 

 

 


🔍 4. 지역별 상세 분석

🇲🇾 말레이시아

  • Selangor: Klang(33.5), Shah Alam(28.7), Petaling Jaya(27.7) 등 대부분 WHO 기준을 초과합니다.
  • 쿠알라룸푸르: 2022년 17.3 → 2023년 15.3 → 2024년 28.3으로 증가 추세입니다.
  • 페낭: Perai 지역은 24.7로 WHO 기준을 초과합니다.smartairfilters.comsmartairfilters.com

🇰🇷 한국

  • 서울특별시: 2024년 평균 17.6으로, 2008년 대비 약 32% 감소했습니다.
  • 경기도: 비슷한 감소 추세를 보이며, 2024년 평균 약 17.5입니다.
  • 제주도: 항상 WHO 기준 이하를 유지하며, 2024년 평균 약 10.0입니다.

 

 

 


🌿 5. 공기질 개선 요인

한국:

  • 노후 디젤 차량 규제 및 친환경 차량 보급 확대
  • 계절별 미세먼지 관리제 시행
  • 산업체 배출 규제 강화
  • 중국발 오염물질 감소로 인한 외부 요인 개선

말레이시아:

  • 산업화 및 도시화로 인한 배출 증가
  • 불법 소각 및 농업 활동으로 인한 오염
  • 대기질 관리 정책의 미비

 

 

 

 

🧾 결론

최근 3년간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주요 도시들이 말레이시아의 주요 도시들보다 평균적으로 더 낮은 PM2.5 농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과 경기도는 지속적인 정책 노력으로 공기질이 개선되고 있으며, 제주도는 항상 WHO 기준 이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말레이시아의 주요 도시들은 WHO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아, 공기질 개선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