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살림

한국의 생산성은 정말 낮은가? 그 원인과 비교 분석

by 정상인 입니다. 2021. 10. 27.
반응형



 

언론에서는 국가별 노동 생산성 순위를 자주 보도합니다. 하지만 이 지표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야 할까요? 한국의 생산성이 낮다는 보도가 반복되면서 많은 직장인들이 자조적인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단순한 수치 비교가 아니라 각국의 경제 구조, 역사적 배경, 자원 분포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한국의 생산성이 낮다는 주장은 과연 얼마나 신빙성이 있을까요?

 

 

1. 자원이 곧 생산성인가?

 

 

 

생산성이 높은 국가들을 보면 대부분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노르웨이 (83.1 달러/시간): 유전에서 석유와 가스를 퍼올려 판매하는 나라입니다. 한국과 같은 제조업 중심 경제와 비교하기 어렵습니다.
  • 호주: 철광석과 석탄을 파서 팔면 돈이 되는 나라입니다. 한국처럼 원자재를 수입해 가공해야 하는 나라와는 게임 자체가 다릅니다.

자원이 경제를 떠받치는 국가들은 기본적으로 높은 1인당 부가가치를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 생산성 수치도 자연스럽게 높게 나옵니다. 한국이 아무리 노력해도 자원을 그대로 캐내어 수익을 얻는 국가들과 같은 생산성을 보일 수는 없습니다.

 

 

 

2. 역사적 배경이 생산성을 결정한다

국가별 경제 구조를 이해할 때, 역사적인 요인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 일본: 1989년부터 2010년까지 21년간 세계 2위 경제 대국이었으며, 오랜 기간 축적된 자본과 기술을 바탕으로 경제를 운영해 왔습니다.



 

 

  • 독일: 동서독 통일 후에도 꾸준히 자동차, 화학, 기계 산업을 키우면서 제조업 경쟁력을 유지했습니다. 또한, 근로자가 기업 경영에 참여하는 문화가 정착되어 있습니다.

 

 



 

 

 

[넷플릭스 드라마] 애프터 라이프 앵그리맨 After life Angryman

​애프터 라이프 앵그리맨 줄거리배우자를 상실한 후 삶의 궤도에서 벗어난 주인공 토니.뻔하지만 그 정도만 일해도 되도 삶이 영위되는 부러운 직장.좀 막나가도 이해해 주는 동료들. 처남 보

sojobso.tistory.com

 

  • 영국: 과거 대규모 식민지를 거느리며 경제적 이점을 누렸고, 영어라는 글로벌 언어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엄청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합니다.


 

 

  • 스페인: 300년간 남미를 식민지로 삼아 경제적 이득을 취해왔습니다.

이와 달리, 한국은 외세의 침략을 수없이 받았고, 식민지 지배까지 겪으며 경제 발전이 늦어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또한, 1950년대 전쟁 이후 폐허에서 시작해 단기간에 현재의 경제 규모를 이룬 나라는 극히 드뭅니다.



 

 

 

3. 노동 시간과 통계의 맹점

한국은 근무 시간이 긴 나라 중 하나이지만, 이 시간이 통계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 주말, 공휴일 근무, 야근 등의 데이터가 제대로 집계되지 않거나 축소 보고되는 경우가 있음.
  • 사무직은 상대적으로 정시 출퇴근이 가능하지만, 생산직은 근로 시간을 조작하는 경우도 존재함.

게다가, 생산성이 높다고 평가받는 북유럽 국가들 (핀란드, 덴마크, 스웨덴)이 국가별 생산성 순위에서 빠져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이들 국가는 복지가 워낙 잘 되어 있어 장기 휴직, 병가 등의 영향으로 생산성이 낮아 보일 수 있습니다.

 

 

 

4. 결론: 한국의 생산성은 정말 낮은가?

국가별 생산성 비교에서 단순히 수치를 기준으로 "한국은 생산성이 낮다"고 단정 짓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한국은 자원 부족과 불리한 역사적 배경을 극복하며 세계적인 경제 규모를 이루었으며, 생산성이 낮아 보이는 이유는 각국의 경제 구조와 통계적 맹점에서 기인하는 바가 큽니다.

 

 

 

 

 

 

 

 

💡 세 줄 요약

  1. 한국은 자원이 부족한 국가이며, 자원이 풍부한 국가들과 단순 비교는 무의미하다.
  2. 역사적으로 축적된 부와 경제적 구조 차이가 생산성 수치에 영향을 미친다.
  3. 노동 시간과 통계 방식의 차이로 인해 한국의 생산성이 실제보다 낮게 평가될 가능성이 크다.

📢 한국의 경제를 비판하기 전에, 이와 같은 배경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단순한 생산성 수치만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